굿을 포함하는 다섯 글자의 단어: 78개

한 글자:1개 두 글자:85개 세 글자:268개 네 글자:123개 🍀다섯 글자: 78개 여섯 글자 이상:84개 모든 글자:639개

  • 천신굿하다 : (1)무당이 가을이나 봄에 몸주에게 올리는 굿을 하다.
  • 굿바이 히트 : (1)야구에서, 승리를 결정지으며 경기를 끝내는 안타.
  • 굿방앗고 : (1)‘절굿공이’의 방언
  • 장수거리굿 : (1)환자에게 붙은 역신을 쫓기 위하여 무당이 갑옷을 입고 창과 활로 무장한 다음 말을 타고 하는 굿.
  • 대감굿하다 : (1)무당이 집터를 지키는 터줏대감을 모셔 춤추고 풍악을 울리며 즐겁게 노는 굿을 하다. 열두 거리 굿 가운데 가장 중요하므로 전체 굿을 하는 일을 이르기도 한다.
  • 일채굿장단 : (1)풍물놀이나 무속 음악에서, 징 따위를 한 번 치는 장단.
  • 외마치질굿 : (1)호남 지방의 풍물놀이에 쓰이는 장단의 하나.
  • 은산 별신굿 : (1)충청남도 부여군 은산에서 수호신에게 풍요와 평안을 기원하는 별신굿. 진대베기, 꽃받기, 상당굿, 당상강신굿, 하당굿, 독산제, 장신제 따위의 차례로 구성된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은산 별신제’이다.
  • 이채굿장단 : (1)풍물놀이나 무속 음악에서, 징 따위를 두 번 치는 장단.
  • 허줏굿하다 : (1)무당이 신을 맞아들이는 굿을 하다.
  • 영등굿놀이 : (1)음력 2월에 제주에서 영등할머니에게 올리는 당굿. 음력 2월 초하루에서 보름 사이에 해녀와 어부를 위하여 베풀어진다.
  • 여탐굿하다 : (1)집안에 경사가 있을 때 먼저 조상에게 아뢰는 굿을 하다.
  • 평안 다리굿 : (1)고려 이후 평양을 중심으로 평안도 지방에 정착된 사령 천도굿. 죽은 사람의 영혼이 극락으로 가기를 염원하거나 생존한 노인이 죽은 뒤 극락으로 가기를 기원하는 굿이다.
  • 되풀이진굿 : (1)풍물놀이에서, 도래진 대형에서 상쇠를 앞세워 도로 풀어 나오는 놀이.
  • 대상씻김굿 : (1)진도 씻김굿의 하나. 대상 날 밤에 한다.
  • 무당굿 놀이 : (1)무당이 굿을 하는 도중에, 각 거리마다 의식을 끝내고 행하는 놀음굿. 연극적인 요소가 강하다.
  • 조상굿하다 : (1)조상을 위하여 무당을 시켜 굿을 하다. 다리굿을 할 때에는 죽은 가족을 다 모시고, 별신굿할 때에는 마을의 조상을 다 모신다.
  • 굿짚걸금 : (1)‘외양간두엄’의 방언
  • 흘림당산굿 : (1)약식으로 간단히 하는 풍물놀이.
  • 봉사 굿 보기 : (1)아무리 보아도 그 진미(眞美)를 알아볼 능력이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봉사 단청 구경’ ‘소경 관등(觀燈) 가듯’ ‘봉사 등불 쳐다보듯’ ‘봉사 씨름굿 보기’ ‘소경 단청 구경’ ‘장님 등불 쳐다보듯’ ‘장님 은빛 보기다[보듯]’
  • 콩노굿 일다 : (1)콩의 꽃이 피다.
  • 조상세존굿 : (1)지노귀굿의 첫 순서. 소반에 떡과 술을 차려 놓고 조상신과 세존에게 간단히 빈다.
  • 영동굿놀이 : (1)음력 2월에 제주에서 영등할머니에게 올리는 당굿. 음력 2월 초하루에서 보름 사이에 해녀와 어부를 위하여 베풀어진다.
  • 혼건지기굿 : (1)진도 씻김굿의 하나. 물에 빠져 죽은 이의 넋을 물속에서 건져 내어 그 한을 풀어 주고 영혼을 씻겨 준다. 익사한 곳에서 넋을 건져 내어 집 안에 모셔다 놓고 한다.
  • 마부 타령 굿 : (1)농사나 사업이 잘되고 자손이 번창하기를 비는 경사굿의 하나. 무당이 제석거리와 풍년을 비는 놀이를 시작하면, 마부가 나무 소를 몰고 들어와 무당과 대화하며 굿을 진행한다. 경기도 양주에서 행하여지고 있으나 황해, 평안, 함경에서도 행해졌다고 한다.
  • 장독 지신굿 : (1)동래 지신밟기 셋째 마당인 김 생원 댁 지신풀이의 여섯째 풀이. 장독간에 가서 하는 것으로, 모든 장들을 맛 좋게 하여 달라는 뜻을 지닌다.
  • 영감놀이굿 : (1)제주에서 영감신을 모셔다 노는 굿. 집에 잘 모셔 대접하면 큰 부자가 되게 하여 주며, 특히 어부들에게 고기 떼를 몰아다 준다고 한다.
  • 굿단속하다 : (1)광산에서, 갱이 무너지지 아니하도록 손을 보다.
  • 저승혼사굿 : (1)진도 씻김굿의 하나. 총각과 처녀로 죽은 넋을 달래 준다. 총각의 무덤을 처녀의 무덤 옆으로 옮기거나 서로 합장하여 혼인 시킨 뒤, 그날 밤 총각 집 뜰에 차일을 두 곳에 치고 각각 넋을 씻긴다.
  • 경기 도당굿 : (1)수원, 인천과 한강 이북 지역에서 수호신을 위하여 벌이는 마을굿. 정월 초에 하기도 하고 봄가을에 정기적으로 하기도 한다.
  • 오채굿장단 : (1)전라도 우도 풍물놀이 장단의 하나. 오채는 징을 다섯 번 친다는 뜻이다.
  • 구지노귀굿 : (1)죽은 지 3년이 지나 탈상 뒤에 하는 지노귀굿.
  • 짓수굿하다 : (1)잔뜩 수그리다. (2)매우 조용하고 얌전하다.
  • 성문여는굿 : (1)호남 풍물놀이에서, 상쇠가 문잡는굿의 두 줄로 된 대형에서 한 사람씩 차례로 영기를 돌아 모두 데리고 나오는 놀이.
  • 당상강신굿 : (1)은산 별신제 절차에서, 제사 다음 날 아침 당상에서 귀신이 내려오도록 하는 굿.
  • 만구대택굿 : (1)황해도 지방에 내려오는 큰굿. 만신이 자신이 길러 낸 무당들과 단골들의 운수 대통을 빌기 위하여 자기의 집에서 이레에 걸쳐 벌이는 스물네 거리의 굿을 이른다.
  • 그레이 굿 : (1)방적 후 정련ㆍ표백ㆍ염색 따위의 가공을 하지 않은 면 생지로 만든 직물.
  • 강신굿하다 : (1)몸에 내린 신을 맞아서 무당이 되려고 신에게 비는 굿을 하다.
  • 바벨 굿 모닝 : (1)웨이트 트레이닝에서, 다리 뒤쪽 근육을 발달시키는 운동의 하나. 바벨을 어깨에 메고 허리를 편 상태에서 엉덩이를 뒤쪽으로 뺌과 동시에 몸통을 인사하듯 앞으로 숙인다.
  • 내림굿하다 : (1)몸에 내린 신을 맞아서 무당이 되려고 신에게 비는 굿을 하다.
  • 굿거리 시조 : (1)굿거리장단에 맞춘 시조.
  • 하회 별신굿 : (1)경상북도 안동시 하회 마을에 전승되어 오는 탈놀이. 음력 정초에 서낭제를 지내면서 행하던 것으로, 파계승과 양반을 풍자하고 서민의 궁핍상을 보여 주는 따위의 내용을 담은 8개의 마당으로 구성된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하회 별신굿 탈놀이’이다.
  • 남의 굿 보듯 : (1)자기 일이 아니라 하여 무관심한 태도로 방관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직수굿하다 : (1)저항하거나 거역하지 아니하고 하라는 대로 복종하는 데가 있다. (2)‘지긋하다’의 방언
  • 산지노귀굿 : (1)노인들이 살아생전에 행하는 지노귀굿.
  • 혼인 여탐굿 : (1)집안에 혼례가 있을 때 이를 조상신에게 아뢰어 축복하기 위한 굿.
  • 굿거리장단 : (1)풍물놀이에 쓰이는 느린 4박자의 장단. 일반적인 굿거리장단과 남도 굿거리장단이 있으며, 보통 행진곡과 춤의 반주에 쓴다.
  • 굿거리가락 : (1)승무(僧舞)의 춤사위 가운데 하나. 자진 타령 가락에서 북을 친 다음, 춤판의 정면으로 나와 춤을 춘다. 어깨춤으로 시작하여 북을 칠 준비를 하고 장삼에서 손을 빼어 북채를 쥐고 북 앞에서 어르는 동작을 한다.
  • 열두 거리 굿 : (1)열두 거리로 이루어진 중부 지방의 굿. 여러 신을 모셔다 두루 보호를 받자는 데서 나온 굿으로, 굿의 순서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지는 않으나 대개 부정풀이로 시작하여 뒷전풀이로 끝난다.
  • 굿 거버넌스 : (1)능력 있는 정부의 효율적인 공공 정책 및 서비스 제공과 시민 사회의 적극적인 참여가 결합된, 새로운 통치 및 국가 운영 체제.
  • 다수굿하다 : (1)고개를 조금 숙이고 온순한 태도로 말이 없다. ⇒규범 표기는 ‘다소곳하다’이다.
  • 굿(을) 꾸리다 : (1)탄광이나 광산의 굴이 무너지는 위험을 막기 위하여 양쪽 벽과 천장에 기둥을 세우다.
  • 마른오구굿 : (1)죽은 지 일 년 이상 지난 사람의 넋을 위로하여 극락왕생을 하기를 비는 굿.
  • 부정풀이굿 : (1)사람이 죽은 부정을 깨끗이 없앤다고 하는 굿.
  • 영화씻김굿 : (1)진도 씻김굿의 하나. 조상의 비를 세울 때 그 넋이 영화를 누리라고 행한다. (2)진도 씻김굿의 하나. 집안에 경사가 있을 때 조상 모두에게 조상의 은덕이라고 행한다.
  • 굿잔허다 : (1)‘야젓잖다’의 방언
  • 진지노귀굿 : (1)사람이 죽은 지 3년 안에 하는 지노귀굿.
  • 굿이 일다 : (1)콩이나 팥 따위의 꽃이 피다.
  • 평양 다리굿 : (1)고려 이후 평양을 중심으로 평안도 지방에 정착된 사령 천도굿. 죽은 사람의 영혼이 극락으로 가기를 염원하거나 생존한 노인이 죽은 뒤 극락으로 가기를 기원하는 굿이다.
  • 칠채굿장단 : (1)풍물놀이나 무속 음악에서, 징 따위를 일곱 번 치는 장단.
  • 단풍맞이굿 : (1)황해도 지역에서 봄이나 가을에 집안의 축복을 기원하기 위하여 행하는 굿. 집안에 재앙이나 우환이 없는 집에서 행해진다.
  • 팥노굿 일다 : (1)팥꽃이 피다.
  • 굿셈하다 : (1)구구법을 이용하여 어떤 수를 다른 수와 곱하다. (2)속으로 궁리하여 보다.
  • 거무영청굿 : (1)제주에서, 도살업(屠殺業)이 잘되기를 비는 굿.
  • 성주받이굿 : (1)집의 수호신으로 성주를 새로 모시는 굿. 집을 새로 짓거나 이사를 한 뒤 또는 남자 주인인 대주(大主)의 나이가 17세, 27세, 37세 따위와 같이 7 자가 되는 해의 10월에 날을 가려 한다.
  • 강릉 단오굿 : (1)강릉 단오제 가운데 행하는 무속 의례. 제례, 가면극, 무당굿의 분야를 중심으로 전승된 강릉 단오제 가운데에서 무당굿은 세습무가 주재하며, 민중 신앙의 핵심이 되는 중요 부분을 담당한다. 음력 4월 5일, 4월 15일, 그리고 본제가 벌어지는 음력 5월 3일부터 7일까지 세 번에 나뉘어 행하며, 신주 빚기, 대관령 국사 성황신 모시기, 국사 성황 부부 모시기, 강릉시 남대천 가설 굿당의 ‘단오굿’ 따위로 이루어진다.
  • 지수굿하다 : (1)고개 따위를 숙인 듯하다.
  • 굿바이 홈런 : (1)야구에서, 승리를 결정지으며 경기를 끝내는 홈런.
  • 넋건지기굿 : (1)진도 씻김굿의 하나. 물에 빠져 죽은 이의 넋을 물속에서 건져 내어 그 한을 풀어 주고 영혼을 씻겨 준다. 익사한 곳에서 넋을 건져 내어 집 안에 모셔다 놓고 한다.
  • 대동 마당굿 : (1)대동 놀이를 겸한 의미의 마당굿.
  • 굿한 뒷장구 : (1)일이 다 끝나거나 결정된 후에 이러쿵저러쿵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굿 뒤에 날장구[쌍장구] (친다)’ ‘굿 마친[지낸] 뒷장구’
  • 서울 새남굿 : (1)서울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죽은 사람의 넋을 위로하고 좋은 세상으로 인도하기 위한 굿. 주로 상류층이나 부유층 사이에서 행해졌으며, 죽음과 관련된 의례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크고 궁중 문화적인 요소도 포함되어 있다.
  • 소상씻김굿 : (1)진도 씻김굿의 하나. 초상 때 씻김굿을 하지 아니하고 소상 날 밤에 상청 앞이나 뜰에서 한다.
  • 강릉 별신굿 : (1)단오 전후에 강원도 강릉 지방에서 행하는 마을굿. 풍년을 빌고 재앙을 쫓기 위하여 서낭신에게 굿을 올리며 각종 민속놀이도 한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강릉 단오제’이다.
  • 나무달굿 : (1)땅을 다지는 데 쓰는 굵고 큰 나무토막.
  • 상당강신굿 : (1)은산 별신제 절차에서, 제사 다음 날 아침 당상에서 귀신이 내려오도록 하는 굿.
  • 별신굿하다 : (1)동해안 일부와 충남 은산에서 전하여지는 복합적인 형식의 부락제를 하다. 유교식으로 제관이 축문을 읽은 뒤, 무당이 나와 굿을 한다.
  • 진도 씻김굿 : (1)전라남도 진도에서 행하는 씻김굿. 시간과 장소에 따라 굿의 내용이 다르다. 곽머리 씻김굿, 소상씻김굿, 대상씻김굿, 날받이 씻김굿, 가묘 씻김굿, 영화씻김굿, 넋건지기굿, 저승혼사굿 따위가 있다. 안땅, 혼맞이, 초가망석, 쳐올리기, 손님굿, 제석굿, 고풀이, 영혼말이, 이슬털기, 왕풀이, 넋풀이, 동갑풀이, 약풀이, 넋올리기, 손대잡이, 희설, 길닦음, 종천의 절차로 이루어진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제72호.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1개) : 가, 각, 간, 갇, 갈, 갉, 갏, 감, 갑, 값, 갓, 강, 갖, 갗, 개, 객, 갠, 갤, 갬, 갭, 갱, 갸, 갹, 걈, 걍, 걔, 걘, 거, 건, 걸, 검, 겁, 겂, 것, 겄, 겇, 겉, 게, 겍, 겐, 겔, 겝, 겟, 겠, 겡, 겥, 겨, 격, 견, 겯, 결, 겸, 겹, 겻, 경, 겿, 곁, 계, 고, 곡, 곤, 곧, 골, 곬, 곰, 곱, 곳, 공, 곶, 곷, 곻, 과, 곽, 관, 괄, 괌, 광, 괘, 괙, 괜, 괠, 괨, 괭, 괴, 괵, 괼, 굄, 굉, 교, 굠, 굥, 구, 국, 굮, 군, 굳, 굴, 굼, 굽, 굿 ...

실전 끝말 잇기

굿으로 시작하는 단어 (99개) : 굿, 굿갈리다, 굿감독, 굿거, 굿거리, 굿거리가락, 굿거리굿, 굿거리 시조, 굿거리장단, 굿거리춤, 굿 거버넌스, 굿것, 굿게, 굿 구경 간 어미 기다리듯, 굿 구경을 하려면 계면떡이 나오도록, 굿극, 굿길, 굿 나이트, 굿 나잇, 굿놀음, 굿 놀이, 굿단두리, 굿단속, 굿단속하다, 굿당, 굿덕대, 굿도 볼 겸 떡도 먹을 겸, 굿돌, 굿 뒤에 날장구[쌍장구] (친다), 굿 들은 무당 재 들은 중 ...
굿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9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굿을 포함하는 다섯 글자 단어는 78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